‘5차 청문회’가 시작돼 행적이 불분명했던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 출석했지만 시작 전부터 ‘위증논란’ ‘청문회 사전모의’ 논란으로 청문회는 증인에 대한 심문도 하지 못하고 있다.
박범계 의원은 “위증교사, 사전모의 논란이 있는 이완영 의원은 국정감사 및 조사 법률에 의해 간사의 자격뿐만 아니라 특조위 자격도 없다”며 “이것은 단순히 개인적인 생각이 아니라 당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김경진 의원은 “위증교사와 관련된 논란 가급적 안했으면 좋겠다”면서 “이완영 의원이 자진해서 사임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그 부분 역시 그리 많은 시간을 들일 것이 아니고 빨리 이완영 의원 제척건에 대해 표결해 결의하고 청문회에 집중하자”고 잘했다.
하지만 이완영 의원은 “위증교사는 허위주장, 정치공작”이라면서 "박영선 의원도 만난 적이 있다"고 문제제기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윤소하 의원은 “이완영 의원은 이미 간사직 사퇴를 선언한 바 있다”면서 “최교일 의원처럼 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은 “조여옥, 우병우 증인에 대해 충실히 청문회를 하되 위원장님이 위증교사 부분에 대해 특단의 조치를 내려달라”고 강조했다.
황영철 의원은 “빨리 의사진행 과정 끝내고, 국민들에게 우병우, 조여옥 증인에 대해 심문해야 한다”면서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상황에서 이완영 간사는 국조를 방해하는 모습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며, 이완영 간사를 교체해 달라”고 말했다.
김성태 위원장은 “박영수 특검에 수사의뢰해서 명백히 밝혀지게 하겠다”고 밝혔지만, 청문회는 시작도 못하고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박영선 의원은 "위원장님이 미꾸라지를 제거해 달라"면서 "위원회 의결로 제척해 줄 것"을 긴급안건으로 요청했다. 박 의원은 "제가 만난 것은 청문회 이후에 만난 것"이라며 "제보받은 내용에 대명사가 너무 많이 나와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만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태경 의원도 "이완영 의원이 결백하다면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라도 간사직은 사퇴하는 것이 맞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