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난치 질환 ‘크론병’, 절반이 20-30대 젊은층

2016.03.07 10:53:25

발생원인은 서구화된 생활환경과 유전적인 요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크론병(K50)'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이 자료를 토대로 크론병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14천명에서 2015년 약 18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4천명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7.1%였다.

 

또 총 진료비는 2011년 약 233억원에서 2015년 약 474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240억원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19.4%를 보였다.

 

지난해 기준 크론병진료인원 절반(50.7%)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점유율은 전체 진료인원 중 2029.3% > 3021.4% > 1014.5% 순으로, 젊은 층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 남성 진료인원의 비율이 높았다. 남성 20대는 21.5%, 30대는 15.4%, 진료인원 3명 중 1명 이상은 젊은 20~30대 남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크론병은 식도, , 소장, 대장과 항문에 이르기까지 위장관의 어느 부위에도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의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설사, 복통, 열 그리고 체중 감소의 증상이 나타난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15~35세에 진단이 되는 경우가 많고 생활환경이 서구화되는 것과 유전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론병은 한 번에 진단이 어렵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검사, 혈액검사, 대변 내 세균배양검사, 내시경 검사, 장 투시 검사, CT, MRI 등 여러 검사를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한 번 걸리면 치료가 어렵다고 알려졌지만 약물치료, 수술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약물치료에는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생물학적 제제 등이 쓰이며, 수술은 절제와 문합술, 협착 성형술, 장루술 등이 있다.

 

심사평가원 이종철 진료심사평가위원장은 크론병은 희귀난치 질환 중 많이 알려진 질병이지만 증상이 보통의 장 질환들과 비슷하여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가 늦어질 수 있으므로, 복통·설사 등의 증상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관절, 피부, 눈 등에 이상이 동반되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Copyright @2015 방송문화미디어텍.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 영종도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03590 | 등록/발행일 : 2015년 2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조재성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69길 23 한국금융IT빌딩 5층 | T. 02-6672-0310